*Hermann Hesse, 「Schlaflose Nächte」 in 『Die Kunst des Müßiggangs』, 1973.
Sleep is a precious gift from nature -a friend, a refuge, a magician, and a warm comforter. That’s why I feel deep compassion for those who suffer from chronic insomnia and have learned to be finding solace in fleeting sleep at dawn. Yet, I don’t think I could ever truly love someone who has never experienced a sleepless night. Such a person must possess the most innocent of souls.
*Hermann Hesse, 「Schlaflose Nächte」 in 『Die Kunst des Müßiggangs』, 1973.
*Quoted and translated by the essay’s author.
- Dive deep into your own ocean of abyss.
- Never let go of your floating thoughts.
- Hold tight to the ones you grasp.
- Translate those thoughts into your own language.
- Find and truly converse with someone who shares similar thoughts with you.
- Never get drunk or high when you are speaking as a bedroom philosopher.
- Internalize every new thought that surfaces in your mind.
- Do not pry into a secret that other bedroom philosophers haven’t chosen to reveal. (Respect each other's abyss.)
- Love fellow bedroom philosophers.
- Repeat steps 1-9 over and over.
I can never have a deep spiritual conversation with someone who has never been a "bedroom philosopher." I don’t mean an academic nerd who loves philosophy and memorizes every ideology of past philosophers. I am talking about someone who has experienced organizing their own thoughts, ruminating on them, and being overwhelmed by them—someone who has undergone that moment of becoming a philosopher themselves.
Bedroom philosophers might spend endless hours gazing into their own philosophy and fantasy, writing diaries, even without knowing all the ideas of the past philosophers. They might struggle to find answers for philosophical, existential, and essential questions that keep occurring to them. Sometimes they would get overwhelmed by these deep current of thoughts, but absolutely, they would take the pleasure in the moment of sayoo (思惟, the act of falling deeply into thought and contemplating). Then they will build their own world more firmly and stably. Conversations with bedroom philosophers are more than just daily small talk such as "I ate this today" or "I went there yesterday." You will be able to have a precious experience where you can perceive someone's world, even just its shallow surface. Though we stand on the same earth, each of us lives in our own perceived world. Talking with bedroom philosophers, you get the chance to step a little closer to another's world—otherwise, you may never know it exists.
Interacting with someone who has built their own essential and existential ideas about the World, Me, You, Us, Life, Death, and beyond always gives us a new perspective, whether good or bad. At some point, I found myself unable to truly connect or reveal my sincere abyss to people who had never been "bedroom philosophers."
Immersion, or overthinking, is not a conscious choice for bedroom philosophers observing their abyss. They were born to do so unconsciously. Exploring and reading their inner ocean tall the way down to the deepest point, without a specific reason, will let them face their darkest corners of themselves—parts they don't want to accept or can't show to anyone. In this process, it’s easy for them to believe that "I’m strange," or "I’m not ordinary." But simply knowing that there is someone who understands even a fragment of their abysses and finding a common ground can ease that ambiguous curiosity about their existence. They might also experience their world expanding and deepening through understanding other bedroom philosophers' worlds. For those who love to overthink, or to sayoo, finding another bedroom philosopher and connecting with them can be the most valuable moment to grow their own worlds.
Where is the world that bedroom philosophers are staring at? How did they get so obsessed? I exist in my "brain." When I unconsciously think about my eyes, nose, or mouth, they feel like the closest parts of me. But when I think about my toes, they feel far away. Where does this strange difference come from? Why does this difference even exist? Because my sense of self is rooted in my "brain," anything physically distant from it feels farther away, even though it’s still my body. That is, I am perceiving my "brain" as me, myself.
That’s why I believe sayoo is the most human thing we can do with our brains, the place where we are rooted. People might say "I'm thinking about what to have for lunch," but no one says, "I'm sayoo-ing what to have for lunch." This is because sayoo isn’t just an act of simple daily thinking; it is more about investigating the essence of a certain idea, digging deeper and deeper into it. Any creature with a brain can think "I'm hungry, I should eat," or "I'm sleepy, I should sleep." Even the tiniest hamster has such thoughts with its tiny brain, even when it seems like it's not consciously thinking at all. However, human beings might be the only creatures to use their brains to seek the essence of abstract questions, such as "Why was I born?", "Why am I living?", "Why should I die", "What is love?"—and that's why sayoo is the most human of all acts.
I also believe depression is an emotion of those who sayoo. I’ve heard so many times people advising, "Stop thinking too much," to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severe depression or anxiety. This implies that "overthinking" could be the reason for depression and anxiety. But I like those who sayoo—who overthink extremely. Thus I like depressed people. At the very least, they’ve been locked in their own philosophy, contemplating. I would love to let them know that they are not alone in feeling that vanity that drowns them in their deep thoughts—by listening to them and sharing my story. Maybe, I want to be reassured that I’m not alone.
I wish I could interact with people who can enjoy sayoo and embrace depression, and offer them moments of connection as much as I can. I believe that many people who ended up getting therapy after struggling with their abyss might have felt disappointed by therapists' objective comments or distant sympathy. I’ve felt that too. I was not looking for someone to solve my philosophical questions or the depression born from them. I was actually looking for someone who would sincerely respect my philosophy and share their own.
Through art, I want to create opportunities where these bedroom philosophers can sympathize, be sympathized with, comfort, and be comforted by each other by sharing their stories and expanding their philosophy. As a creator, director, and at the same time a participant, I want to experience the comfort through a time I made for others to be comforted. Through projects that draw out people's stories, I, the creator, will become a participant, and participants will become co-creators. This process doesn’t have to happen only through art. Any act that allows deep thoughts to be shared and expanded is meaningful. I choose art because it’s the most sincere and natural medium for the connection I pursue. Sometimes, although it might be more difficult to understand than words or writing, art can reveal one's own language and world with much greater power. For me, the interaction and the connection itself is the point, not the form in which it is achieved. No matter how it's done, it can be art if it enables the expansion of thoughts through interaction and connection.
Being a bedroom philosopher is lonely. It doesn't matter how many friends they have. It is because they spend too much time observing and falling into their own abysses—sayoo. Of course they enjoy these moments, but that doesn't mean they are not suffering. They might try to read and translate their very bottom of themselves—that nobody cares about—into their own languages. Even in silence, they are still translating and internalizing. They are organizing again and again because nobody acknowledges them. However, if the moment comes when someone ever understands and accepts even one piece of their abyss, they will feel the greatest pleasure to the extent that they can't even explain. At least, it is for me. I become endlessly attached to anyone who understands my deepest, darkest abyss. Showing my unexplainable abyss through my own language—whether this language is visual or experiential—and waiting for someone who understands me: these are the reasons why I want to create. Sometimes I feel a huge fear that no one will genuinely understand me, feeling overwhelmed by my own world that I can't even handle. But I will keep creating if this can help me out of this chaotic state. And if anyone else struggling facing their abysses can find comfort in my art, I will gladly invite them to be co-workers and participants in my art. By breaking the boundary between the creator, which is me, and the audience, I want to make a scene where everyone can offer and receive understanding and respect.
If you still haven't decided to take a step forward into your own abyssal ocean where you don't even know how deep it is, I strongly recommend you to dive in and explore. By floating and swimming around "your own" ocean, you will discover your own truth that you will never learn from any book or movie.
*헤르만 헤세, 「잠 못 이루는 밤」, 『밤의 사색』, 배명자 옮김, 북로드, 2020.
- 심연의 바다에 빠져볼 것.
- 흘러가는 생각을 놓치지 말 것.
- 붙잡은 생각을 파고들 것.
- 파고든 생각을 언어화할 것.
- 나와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을 찾아 대화할 것.
- 방구석 철학자로서의 대화는 맨정신으로 진행할 것.
- 추가적으로 떠오르는 생각을 계속해서 내 것으로 만들 것.
- 다른 방구석 철학자가 직접 드러내지 않은 이야기를 캐내지 않을 것. (서로의 심연을 존중할 것.)
- 비슷한 처지의 방구석 철학자를 사랑할 것.
- 1-9를 계속 반복할 것.
나는 ‘방구석 철학자’가 되어보지 못한 사람과 깊은 마음의 대화를 할 수 없다. 역사상 위대한 철학자들의 사상과 글을 꿰는 철학 이론 오타쿠를 말하는 것이 아니다. 온전히 자신만의 생각을 정리하고 곱씹어보고 그것에 압도되어 괴로워해본 적이 있는, 스스로 철학자가 되는 그 순간을 겪어본 사람들을 말하는 것이다.
방구석 철학자들은 선대 철학자들의 사상을 모두 알지 못해도 자기만의 철학과 몽상에 빠져 멍 때리고 일기 등을 쓰며 많은 시간을 보낼 것이다. 마구마구 떠오르는 철학적, 존재론적, 본질적 의문에 스스로 해답을 찾아보느라 애를 쓰고 있을 것이다. 가끔은 너무 심오한 생각에 힘들어하면서도 분명 그 사유하는 시간을 나름 즐기고 있을 것이다. 그리고 자신만의 세계를 더욱 확고하고 단단하게 구축할 것이다. 이런 방구석 철학자들과 대화를 해보면 단순히 ‘오늘 뭘 먹었어’ ‘어제 어딜 다녀왔어’ 의 일상 공유식 대화 이상의 것을 나눌 수 있다. 한 사람의 세계를 얕게나마 인식하게 되는 귀중한 경험을 할 수 있게 된다. 같은 지구에 살고 있지만 우리 모두 각자가 인식하는 각자만의 세계를 살고있다. 방구석 철학자들과 대화해보면 또 다른 세계에 발을 걸칠 수 있는 기회를 얻게 된다.
세계, 나, 너, 우리, 삶, 죽음 등 본질적이고 존재론적인 자신만의 사상을 구축한 사람들과의 교류는 좋은 쪽으로든 나쁜 쪽으로든 언제나 세계에 대한 새로운 통찰을 준다. 반대로 말하자면, 난 어느새 이런 ‘방구석 철학자’가 되어본 적이 없는 사람과는 나의 솔직한 내면을 까놓고 깊은 교류를 할 수 없게 되었다.
심연을 들여다보는 방구석 철학자들에게 몰입(overthink)은 의식적으로 하는 행위가 아니다. 그들은 자기도 모르게 그냥 그렇게 하도록 타고난 사람들이다. 특별한 이유 없이 자신의 내면을 저 끝까지 파헤치고 읽어본다면 분명 스스로에게조차 너무 괴로운 부분이나 타인에게 차마 보여줄 수 없는 부분을 많이 찾게 될 것이다. 이 과정에서 방구석 철학자는 높은 확률로 ‘나는 별난 사람이구나’ ‘나는 조금 튀는 사람이구나’ 등의 생각을 하기 쉬워지는데, 이 심연의 파편을 이해해주는 또다른 누군가가 있다는 사실을 깨닫고 그와의 교집합을 발견하면 분명 자신의 존재에 대한 묘한 궁금증이 해소될 것이다. 또한 다른 방구석 철학자들의 세계를 앎으로써 자신의 세계가 확장되고 깊어지는 경험을 할 수 있을 것이다. 몰입하기를 좋아하는 방구석 철학자에게 세계 확장의 기회란 아주 귀한 경험이 될 것이기에 방구석 철학자는 또다른 방구석 철학자를 찾아 교류하는 편이 좋다.
방구석 철학자들이 들여다보고 있는 세계는 어디에 있을까? 그들은 어쩌다 그 곳에 몰입하게 되었을까? 나는 나의 ‘뇌’에 존재한다. 무의식 중에 눈, 코, 입 등을 떠올리면 아주 가까이에 있는 신체기관이라는 생각이 든다. 반면 발가락을 생각하면 저 멀리 있는 것만 같다. 도대체 출발점이 어디길래 이런 미묘한 거리 감각이 생겨나는 것인가? 나의 근원이 ‘뇌’에 있기 때문에, 아무리 똑같은 내 신체의 일부일지라도 물리적으로 뇌에서 멀어질수록 나 자신에게서 멀어졌다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다. 즉, ‘뇌’를 나 자신이라고 인지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나의 본체가 되는 뇌를 가장 인간다운 방식으로 활용하는 것이 ‘사유’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이따 점심 뭐 먹을지 생각 중이야.’ 라고 말하는 사람은 많겠지만, ‘이따 점심 뭐 먹을지 사유 중이야.’ 라고 말하는 사람은 아마 없을 것이다. 사유는 단순히 일상적으로 떠오르는 모든 생각의 행위를 말하는 것이 아니라, 더 깊은 무언가를 파고들어 어떤 생각의 본질을 파헤치고자 하는 행위를 말하기 때문이다. ‘배가 고파서 뭘 먹어야겠다’ 혹은 ‘졸려서 잠을 자야겠다’ 등의 생각은 뇌가 있는 생물이라면 누구나 할 것이다. ‘도대체 무슨 생각을 하긴 하는 걸까?’ 싶을 정도로 작은 햄스터도 이 정도의 생각은 할 것이다. 하지만 ‘왜 태어났지?’ ‘왜 살고있지?’ ‘왜 죽어야하지?’ ‘사랑은 뭐지?’ 등 추상적인 현상의 본질까지 꿰뚫어보려고 머리를 쓰는 생물은 인간밖에 없을 것이다. 그만큼 사유는 가장 인간다운, 인간만의 행위라고 볼 수 있다.
우울은 사유하는 사람들의 감정이라고 믿는다. 너무 심한 우울이나 불안으로 고통받는 사람들에게 ‘생각을 줄여봐’ 라고 조언하는 것을 들어본 적이 아주 많다. 그만큼 누구나 ‘과도한 생각’이 우울과 불안의 원인이 된다는 것을 알고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나는 생각을 넘어 사유하는 사람을 좋아한다. 따라서 우울한 사람을 좋아한다. 그 사람들은 적어도 자기만의 인생관과 철학관에 갇혀 고민해본 적이 있는 사람일 것이다. 그 사람의 우울을 해결해주고 위로해주고 싶은 마음보다, 가만히 들어주고 내 이야기도 나눠주며 그렇게 깊은 생각에 빠져 결국엔 허무감을 느껴버리게 되는 사람이 당신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알려주고 싶다. 어쩌면 내가 그런 혼자가 아니라는 것을 확인받고 싶은 욕구가 있는 것일지도 모른다.
이렇게 사유를 즐기고 우울을 받아들일 줄 아는 사람들과 교류하고 싶고, 소통의 경험을 능력껏 제공하고 싶다. 자기만의 심연에 허덕이다 결국 심리상담을 받는 사람들 중 상담자의 객관적인 위로와 공감에 아쉬움을 느꼈을 사람이 분명 많을 것이라고 믿는다. 나도 그랬다. 나만의 철학과 그에서 기인한 우울을 해결해줄 사람을 찾는 것이 아니었다. 진지한 마음으로 나의 세계관을 인정해주고 자신의 세계관을 나눠줄 사람을 찾는 것이었다.
예술을 통해, 작업을 통해 나와 같은 많은 ‘방구석 철학자’들이 우리만의 이야기를 공유하고, 공감하고, 공감받고, 위로하고, 위로받고, 또 다른 세계관을 확장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을 만들고 싶다. 그 곳에서 나는 작가로서, 기획자로서, 그리고 동시에 참여자로서 다른 사람들을 위해 만든 시간 속에서 자연스레 나까지 위로받는 경험을 할 것이다.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끌어내는 작업을 통해 나는 작가인 동시에 참여자가 되고, 참여자들도 참여자인 동시에 작가가 되는 것이다. 나와 타인의 세계를 공유하고 합치고 확장시키는 과정이 무조건 예술을 통해 행해져야한다는 뜻은 아니다. 서로의 깊은 곳을 나누고 교류를 통해 생각을 확장시킬 수 있는 행위라면 무엇이든 의미가 있다. 이런 행위가 가장 의미있게, 그리고 가장 자연스럽게 가능할 수 있도록 열려있는 매체가 예술이기 때문에 예술이 택해진 것 뿐이다. 때로 말이나 글보다는 난해할지라도, 더 큰 힘으로 한 사람의 언어와 세계를 보여줄 수 있는 매체가 예술이기 때문이다. 내가 강조하고 싶은 것은 이런 교류가 이루어지는 형식이 아닌, 어떠한 형식으로든 그 안에서 이루어지는 소통과 교류 그 자체이다. 형식과 상관없이 소통과 교류를 통해 세계관의 확장을 이루어낼 수 있다면 그것이 곧 예술이 될 수 있다.
방구석 철학자로 사는 것은 외롭다. 친구가 많고 적고와는 관계 없다. 자신만의 세계에 푹 빠져 자신의 심연을 들여다보는 시간, 즉 깊은 사유의 시간이 너무 많기 때문이다. 물론 그 과정을 즐기고 있을 테지만, 즐긴다고 해서 절대 고통스럽지 않은 것은 아니다. 아무도 몰라주는 자신의 가장 밑 바닥을 읽고 해석하며 자기만의 언어로 정리하려 할 것이다. 글로 뱉지 않더라도 머릿속에서 열심히 언어화하고 있을 것이다. 아무도 알아주는 사람이 없기에 혼자 정리하고 또 정리하는 것이다. 하지만 자기만의 것이라고 생각했던 심연의 한 부분이 다른 누군가에게 이해받는 순간이 오면 설명할 수 없을 정도의
반가움과 벅참을 느낄 것이다. 모두가 그렇지는 않겠지만, 나는 그렇다. 치부라고 생각했던 나의 밑바닥을 이해해주는 사람을 만나면 한없이 의지하게 된다. 문자로 설명하기 애매한 심연의 어떠한 부분을 나만의 언어로 보여주는 것 (그 언어가 시각적이든 경험적이든), 그리고 누군가의 이해를 기다리고 있는 것, 그것들이 내가 작업을 하려는 이유이다. 때로는 나조차도 감당할 수 없는 나의 세계에 압도되어 진정으로 나를 이해할 수 있는 사람은 아예 없을 것이라는 사실에 겁을 먹는데, 작업이 이런 마음을 해소해준다면 계속해서 작업을 할 것이다. 그리고 나와 같이 자신의 심연을 마주하느라 고통받는 사람들이 나의 작업으로 조금의 위로를 받을 수 있다면, 그들을 관객인 동시에 자신들의 바닥을 보여줄 수 있는 작가가 될 수 있도록 기꺼이 초대할 것이다. 그래서 작가인 나와 관객 또는 참여자가 될 다른 이들 사이의 경계를 최대한 허물어, 모두가 이해와 존중을 주고 받을 수 있게 하는 자리를 만들고자 한다.
바닥이 어디일지도 모르는 심연의 바다에 발을 담그기를 고민하는 이들이 있다면, 두렵더라도 일단 뛰어들어 탐험해보기를 추천한다. ‘나’만의 바다를 헤엄치는 행위를 통해 분명 그 어느 책이나 영화에서도 얻을 수 없는 자신만의 진리를 깨달을 수 있을 것이다.
202507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