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o-seong 消成 소성


May 2025
Offline workshop
SAPY 청년예술청, Seoul, Korea


There were memories I wanted to erase. Words I regretted saying, feelings I wished I had not shared, moments I should have endured instead of letting anger spill out... Because I could not turn back time and change what had already happened, I sometimes wished I could simply erase the memory itself. I even wondered if hitting my head hard enough might make me forget. Of course it was absurd, but I once searched online for “memory deletion surgery.” Yet memories do not vanish so easily. All I could do was wait, trusting the belief that “time will help me.” I even began to measure how long it might take.

But the forgetting happened faster than I expected. As new experiences accumulated, the negative emotions faded,and the memory remained only as a quiet trace... “That happened once, long ago.” A memory cannot be erased to be solved. It can remain as an experience, with only its negative emotion worn away.


We hold on to memories in many ways. Just as we treasure those we wish to keep, we also each have at least one we wish to forget. But memories do not disappear simply because we want them gone. Perfect deletion is impossible — what we can do is sort through them, release the weight of the emotions, and let the memory rest.

In the So-seong (消成) workshop, participants face their own memories, sharing and reflecting with one another. They then write a memory they wish to forget onto a ceramic ring, using graphite. Through firing at 1250°C, the writing burns away, leaving only the hardened ring. The Korean word “So-seong” usually means firing ceramics (燒成: to fire, to make), but by using the same sound with different characters (消成: to disappear, to become), it also comes to mean “the memory disappears, yet remains as something made.” The experience of engraving something stays — but the content itself is gone.

Through this process, the ceramic ring becomes both a commemorative object of what was once inscribed, and a symbolic tool to help organize and release a difficult memory.


지우고 싶은 기억이 있었다. 그 때 그 말은 하지 말 걸, 마음을 주고받지 말 걸, 미워도 한 번 참을 걸. 시간을 되돌려 상황을 바꿀 수 없으니, 차라리 기억을 지우고 싶다고 생각했다. 어딘가에 머리를 세게 박으면 기억이 사라질까? 라는 상상을 한 적도 있었다. 말이 안 되는 걸 알면서도 인터넷에 ‘기억 삭제 수술’ 같은 걸 검색해본 적도 있었다. 그렇지만 기억은 그렇게 쉽게 없어지는 것이 아니었다. ‘시간이 지나면 적당히 잊어지겠지’ 믿고 기다리는 방법밖에 없었다. 시간이 얼마나 흘러야 잊혀질지 계산하고 재기 시작했다.

하지만 생각보다 빠르게 기억은 정리가 되었다. 다른 경험들이 쌓이면서 부정적인 감정은 소화되고 ‘그 때 그런 일도 있었구나’ 라는 하나의 경험으로 남게 된 것이다. 지우고 싶은 기억은 지워서 해결하는 것이 아니었다. 부정적인 감정만 정리한 채 경험 자체로 남길 수 있는 것이었다.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추억을 새기고 간직한다. 남기고 싶은 기억이 있는 만큼 잊고 싶은 기억도 하나 쯤 있다. 그러나 기억은 없애려 한다고 해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기억을 완벽하게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정리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은 덜어낼 수 있다.

<소성> 워크숍에서 참여자들은 각자의 기억을 마주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도자기로 만든 반지에 잊고 싶은 기억을 연필로 적는다. 이후 1250도의 燒成(불사를 소, 이룰 성)을 거치면서 흑연으로 쓰여진 글씨는 타서 사라지고, 단단해진 도자기 반지만 남게 된다. 기억이 消成(사라질 소, 이룰 성) 되는 것이다. 반지에 무언가를 새긴 경험은 남지만, 그 내용은 사라진다.

이 과정에서 도자기 반지는 무언가를 새긴 기념반지가 되며, 동시에 어떤 기억을 정리하도록 도와주는 상징적인 오브제가 된다






Graphic design : Minju Jung 
그래픽 디자인 : 정민주


Before firing 소성 전After firing 소성 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