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ay 2025
Offline workshop
SAPY 청년예술청, Seoul, Korea
Some memories are worth keeping. Others, we wish we could forget. But memories don’t disappear simply because we wish them gone. While we can’t erase them completely, we might soften the negative emotions they carry.
In this workshop, (Un)Marked, participants are invited to confront such memories and share stories with one another as a way of making peace with the past. Each person will write a memory they wish to forget on a ceramic ring using a pencil. Then, the rings will be fired at 1250°C in a kiln, causing the graphite to burn away, leaving no visible trace of what was written—only the ring itself, now hardened and complete. The experience of inscribing something remains, but the content disappears.
The ring becomes both a commemorative object and a symbolic vessel for memory, helping participants transform painful experiences into something quietly meaningful.
우리는 다양한 방식으로 추억을 새기고 간직한다. 남기고 싶은 기억이 있는 만큼 잊고 싶은 기억도 하나 쯤 있다. 그러나 기억은 없애려 한다고 해서 완전히 사라지는 것이 아니다. 기억을 완벽하게 삭제하는 것은 불가능하지만, 정리를 통해 부정적인 감정은 덜어낼 수 있다.
<소성> 워크숍에서 참여자들은 각자의 기억을 마주하고, 서로 이야기를 나누며 마음을 정리하는 시간을 갖는다. 그리고 도자기로 만든 반지에 잊고 싶은 기억을 연필로 적는다. 이후 1250도의 燒成(불사를 소, 이룰 성)을 거치면서 흑연으로 쓰여진 글씨는 타서 사라지고, 단단해진 도자기 반지만 남게 된다. 기억이 消成(사라질 소, 이룰 성) 되는 것이다. 반지에 무언가를 새긴 경험은 남지만, 그 내용은 사라진다.
이 과정에서 도자기 반지는 무언가를 새긴 기념반지가 되며, 동시에 어떤 기억을 정리하도록 도와주는 상징적인 오브제가 된다.
Graphic design : Minju Jung
그래픽 디자인 : 정민주